수강안내
home
오프라인
home

투자설명서 분석 (1) 개요

1. 투자설명서란

주식, 채권, 부동산 등 10억 이상의 공모 방식으로 자금을 모집할 경우, 투자자들에게 교부해야하는 의무 자료
다수의 대중을 상대로 하는 의무 공시자료로, 투자자를 보호하는 것이 주 목적
자산운용사 웹사이트에 방문하면 쉽게 찾을 수 있음

1) 투자설명서 주요 내용

투자자가 투자 전에 살펴봐야하는 내용으로 법에서 정의된 필수 자료들이 포함
투자대상자산 정보, 관련 인물 정보, 투자자 배정, 가치 산정 방식, 사업 계획, 재무제표 등 투자자에게 필요한 최소 자료
주식, 채권, IPO, 부동산 등 어떤 자산이든 동일한 목차와 동일한 내용,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음
출처 : 금융감독용어사전
투자설명서와 간이투자설명서로 구분되며, 간이투자설명서는 핵심사항만 요약한 것이라 보기엔 좋지만, 실무 연습을 위해서는 투자설명서를 보며 사례 분석하는 것을 추천

2. 투자설명서를 활용하는 이유

1) 공시자료

접근이 어려운 투자제안서를 대체할 유일한 자료로 검색을 통해 모든 정보를 열람할 수 있음
사모투자자들에게 배포되어 접근이 어려운 투자제안서와 달리, 투자설명서는 전자공시를 통해 쉽게 접근 가능
실무에서 투자설명서를 작성할 때, 투자제안서를 활용하기도 하기 때문에 그만큼 유용한 자료라고 할 수 있음

2) 투자제안서와 유사한 구조

투자설명서는 실제 거래에 대한 모든 정보를 담고 있는 투자제안서를 대체할 수 있는 자료
발행 시장에 집중되어 있는 대체투자 분야의 특성상, 매번 투자할 때마다 투자에 대한 구체적인 사항을 기재한 투자제안서가 반드시 제작됨
사실상 투자제안서를 구하면 거래사례 분석에 필요한 대부분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음
하지만 투자제안서는 공시 의무가 없어 해당 사례를 리서치만으로 구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
투자제안서
투자 유치를 위한 목적으로 투자자에게 제공되는 자료
자산 관련된 정보부터 투자 의사결정에 필요한 주요 내용이 모두 포함된 핵심자료
Information Memorandum, Investment Memorandum 등으로 불림

(1) 투자설명서 목차 비교

설명 대상, 법적 제약이 달라 투자제안서보다 더 넓은 범위를 설명
투자설명서는 개인투자자를 대상으로 자금 모집을 상정하고 작성하는 문서
투자자가 인지해야 할 모든 사항을 자세히 기재하게 되어있어, 투자제안서에 포함되는 주요 내용 뿐만 아니라 포괄적인 내용이 포함
투자제안서와 투자설명서 목차 비교
투자제안서
투자설명서
• 투자에 대해 전문적 지식이 있는 기관투자자 대상 • 투자대상 자산과 상품을 중심으로 스토리텔링에 초점
• 개인투자자 대상 • 투자자 보호를 위해 위험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서술

2. 투자설명서 찾기

1) 투자설명서 위치

투자설명서는 펀드, 리츠 등 공모투자기구가 공시하는 장소에서 모두 찾을 수 있음
부동산 공모펀드, 리츠 등의 투자설명서는 펀드를 운용하는 기업 홈페이지나 DART 펀드공시를 통해 쉽게 찾아볼 수 있음
투자설명서 탐색 장소
1.
전자공시시스템 (dart.fss.or.kr)
공시서류검색 → 펀드공시상세검색 → 원하는 펀드명 검색 (정확한 펀드명으로 검색)
2.
해당 투자기구의 홈페이지
공식 홈페이지 → IR (Investor Relations)

2) 주의사항

투자설명서는 공모투자기구가 새로운 자금조달을 할때마다 지속적으로 발행
특정 투자에 매칭되는 투자설명서를 찾는 것이 정보 취득에 도움이 될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