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분석 In-Depth 리포트 작성 – 약식 리포트로 시작하기
증권사|애널리스트 자산운용사|펀드매니저 기업 산하 연구소
입문 애널리스트
교육 기간 4주
학습 코스 오프라인
강의 일정
10월 16일, 23일, 30일, 11월 6일 | 오후 7시 - 9시
강의 장소
서울 영등포구 여의대방로 376, 3층 313호(나라키움여의도빌딩)
#산업분석 #애널리스트 #리포트 작성 #리서치
강의 소개
막연한 산업에 대한 관심을 구체적인 분석으로 전환하는 방법을 학습합니다.
데이터 리서치부터 논리 구축까지의 과정을 거쳐, 자신의 관점이 담긴 한 편의 '약식 산업 분석 리포트'를 직접 완성함으로써 리서치 직무의 기본기를 다지고 취업 경쟁력을 확보합니다.
현직자 멘토님을 소개합니다.
유진투자증권 양승윤 멘토
현) 유진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전) Sojitz Corporation, Airport & Transportation Infra Dept
“면접에서 '어떤 산업에 관심 있나?'라는 질문은 당신을 평가하는 첫 관문입니다.
대부분이 추상적인 대답을 할 때, 당신은 직접 작성한 '산업 리포트'라는 결과물로 증명하게 될 것입니다.
이 경험이 당신을 '준비된 지원자'와 '그냥 지원자'로 가르는 결정적 차이가 될 것입니다.”
상세 커리큘럼
1회차
1.
왜 산업 분석부터 시작하는가?
•
Top-down 리서치의 중요성: 좋은 기업은 좋은 산업에서 나온다
•
'약식 산업 리포트'의 구조와 목표 정의
2.
분석 대상 산업 선정 및 범위 설정
•
나의 관심 분야와 시장의 성장성을 교차하여 유망 산업 선택하기
•
너무 넓거나 좁지 않게 분석의 경계를 정하는 방법
3.
리포트의 뼈대 세우기: 목차(Table of Contents) 구성
•
표준 산업 리포트의 핵심 구성 요소:
(요약, 산업 개요, 성장 동력, 리스크, 대표 기업 등)
4.
[실습] 본인이 작성할 리포트의 목차를 논리적 순서에 따라 직접 설계하기
2회차
1.
애널리스트의 정보 수집처(Source) 공개
•
DART, 증권사 리포트, 정부/협회 통계자료 등 신뢰도 높은 정보원 활용법
•
뉴스 기사의 행간을 읽고 Fact와 Opinion을 구분하는 훈련
2.
산업의 규모와 성장성 파악하기
•
시장 규모(Market Size), 연평균 성장률(CAGR) 등 핵심 지표 찾는 법
•
수집한 데이터를 엑셀에 정리하고 시각화(차트)하는 기초 스킬
3.
[실습] 데이터 수집 및 정리
•
선택한 산업의 시장 규모, 성장률, 주요 정책 등 핵심 데이터를 리서치하여 Fact Sheet으로 정리하기
3회차
1.
데이터를 관통하는 '한 줄'의 핵심 메시지 찾기
•
수집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해당 산업에 대한 나의 핵심 관점(View) 정립하기
2.
산업 분석 프레임워크 활용법
•
SWOT 분석: 산업의 강점, 약점, 기회, 위협 요인 체계적으로 정리하기
•
산업의 성장 동력(Growth Drivers)과 위험 요인(Risk Factors) 구체화
3.
산업 내 대표 기업(Key Players) 분석
•
주요 기업들의 사업 모델과 시장 점유율을 비교하며 산업의 경쟁 구도 이해하기
4.
[실습] 분석 프레임워크 기반 핵심 논거 작성
•
SWOT 분석표를 작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산업의 투자 포인트와 리스크 요인을 문장으로 기술하기
4회차
1.
독자를 사로잡는 리포트 작성
•
두괄식으로 명확하게: Executive Summary(요약) 작성법
•
객관적 데이터와 나의 분석(의견)을 균형 있게 담아내는 기술
2.
최종 리포트 완성하기
•
1~3주차 결과물을 통합하여 서론-본론-결론의 구조를 갖춘 리포트로 취합
•
가독성을 높이는 편집 및 퇴고 과정
3.
[실습] 나의 산업 리포트 1분 Pitch
•
"그래서 이 산업이 왜 좋은가?"에 대한 답을 1분 안에 압축하여 발표
•
동료 및 멘토 피드백을 통해 논리의 허점 보완 및 최종 리포트 완성
4.
[Final Submission] 최종 약식 산업 분석 리포트 제출
수강생 후기
25년 7월 | tit**********
저는 산업분석이라는 것을 간접적으로만 접해보고 직접 경험해보지 못했었습니다. 하지만, 이번 수업을 통해, 산업분석을 직접 경험해보면서 가설 세우고 데이터 찾아서 데이터를 활용하여 제 가설을 강화하는 방식을 통해 산업을 이해하고 내 나름대로의 생각을 산업에 적용시키는 방법을 배우는 수업 방식이 정말 좋았습니다. 또한, 제가 해간 과제물에 대한 직접적인 피드백도 해주셔서 어떤 방향으로 과제물을 완성시킬 수 있을지 방향성을 잡을 수 있는부분도 정말 좋았습니다.
25년 7월 | hen**********
탑다운, 바텀업 분석이 아닌 산업분석부터 시작한 것이 정말 다행이었습니다. 항상 리포트를 쓰다 보면 탑다운으로 어디까지 내려가야 하는지 고민하게 됩니다. 그런데 산업분석에서 밸류체인이나 지정학적 요인 등 산업만의 특성에 대해 미리 고민해보는 과정을 거쳤기 때문에, 지금 와서는 그 부분에 대해 보다 수월하게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게 됐습니다.
25년 7월 | min**********
학교에서 하던 산업분석이랑 얼마나 다른가 보자 하는 마음으로 신청했는데, 산업분석이 단순히 리서치된 내용을 짜깁기하고 숫자를 붙여넣는 것이 아니라, 나의 시각과 가설로 설득하는 이야기를 만드는 것임을 멘토님께 많이 배웠습니다. 특히, 멘토님이 애널리스트로서 갖고 있는 철학도 명확하고, 주니어 애널리스트셔서 초보자의 마음을 잘 알고 궁금증을 해소해주십니다. 애널리스트 지망생이라면 꼭 한 번 들으시길, 그게 아니라도 산업분석을 할 만한 직군이라도 강력 추천합니다!
대표자 : 김은이 | 사업자 번호 : 662-87-01225 | 학원설립 운영등록번호 : 제 5732호 커리어하이
통신판매업 등록번호 : 제2020-서울영등포-0254호 | 이메일 : help@careerhigh.co.kr
전화번호: 02-786-8600(전화)| 주소: 서울 영등포구 여의대방로 376, 3층 313호(나라키움여의도빌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