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안내
home
오프라인
home

연결재무제표의 이해

연결재무제표의 이해

1. 연결재무제표란

연결재무제표란? : IFRS(국제회계기준)에서의 주재무제표로서 기업의 지배, 종속관계에 있는 업들을 한 개의 기업으로 보고 재무제표를 작성하는 것
→ 기업이 다른 기업의 지분을 보유할 경우, 여러 계열사가 서로 연결된 하나의 실체로 보고 작성하는 재무제표
※ 지배·종속 관계
① 종속기업
지분율 50%+1주 이상 지분을 보유하거나 50%미만이지만 실질적인 지배력 혹은 사실상의 지배력 행사가 가능한 기업 ※ 지배력행사란 재무와 영업정책을 결정할 수 있는 것을 의미 → 종속기업에 대해서만 연결재무제표 작성 ※ IFRS에서는 지배력 → ‘힘’이라 표현
※ 지배·종속 관계
② 관계기업
지분율 20%~50% 중대한 영향력을 행사 가능시 지분법을 적용하여 회계처리 → 지분법: 연결과 달리 피투자회사의 자본의 변화에 대해 지분비율을 곱한 만큼 모회사의 투자주식 계정에 반영하는 방법
※ 지배·종속 관계
③투자기업(매도가능금융자산)
지분율 20% 미만으로 공정가치 변화만큼 매도가능증권 평가이익 or 손실로 반영 → 매도가능증권의 시가 변화분을 투자회사의 재무제표에 반영
[재무제표의 구분]
연결재무제표: 지배·종속관계에 있는 기업들을 단일실체로 보아 전체의 경영성과 등을 하나의 재무제표에 표시하는 것
→ 연결 실체 안에 있는 기업의 매출, 자산, 부채, 자본 등을 결합하여 표시
별도재무제표: 지배기업 또는 피투자 회사에 대하여 공동지배력이나 유의적인 영향력이 있는 투자자가 투자자산을 원가법에 따른 회계처리로 표시한 재무제표
→ 모회사가 자회사의 지분을 투자자산으로만 표시
개별재무제표: 연결할 회사가 없는 회사의 재무제표 → 종속관계가 없으면 개별재무제표만 가짐
[삼성전자㈜의 연결재무제표 및 연결대상기업 수]
연결: 가족전체의 재산 vs 별도: 나 개인의 재산
연결재무제표를 작성하는 이유?
지배회사가 종속회사를 이용해서 회계분식 등을 하는 등의 비리를 막는 효과가 존재 → A(지배회사)가 B(종속회사)에 물건을 팔아 인위적으로 매출을 증가시킨다고 가정할 경우, 개별 재무제표에서는 A 회사의 매출이 증가한 것처럼 보일 수 있다. 하지만 연결재무제표를 작성하면 A 회사의 매출과 B 회사의 매출이 합쳐져 실질적인 매출을 반영하게 되므로, 이러한 매출 과대 계상을 쉽게 발견할 수 있다. 따라서 연결재무제표는 기업 간의 부당한 회계 처리와 비리를 방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지배기업이 종속기업에게 상품을 시가보다 비싸게 파는 경우
지배기업의 별도재무제표 기준으로는 지배기업의 이익이 증가하고 실적이 좋아보이나, 종속기업은 실적이 악화됨 → 이를 연결재무제표로 작성하는 경우 지배회사와 종속회사 간의 “내부거래”를 제외함으로 분식회계를 막을 수 있다.
※ 내부거래의 예 :
A(지배회사)는 자동차 부품제조사로 100원 원가의 부품을 자동차 제조업체인 B사(종속회사)에게 120원으로 판매, B사는 고객에게 150원에 외부 판매 시 : A사는 120원의 매출을 A사 별도재무제표에 보고, B사는 150의 매출을 B사 별도재무제표에 보고 그러나 연결재무제표에서는 내부거래인 A사의 매출 120을 제거한다.
[연결재무제표의 예] (※A(지배회사)-B(종속회사)간 내부 거래 없다는 가정)
[A사 (지배)] : B사 지분 50% 보유
자산
200
부채
100
자본
100
+[B사(종속)]
자산
400
부채
200
자본
200
=[연결]
자산
600
부채
300
자본
300
1) 지배주주지분
200
2) 비지배주주지분
100
A기업이 B기업의 지배주주지분율 50% 만큼만 자본청구권을 지닌다는 것
→ 지배주주지분: A사 자본 100 + B사 자본 200 x 지분 50% = 200
→ 비지배주주지분: B사 자본 200 x 비지배지분 50% = 100
연결재무제표 vs 별도제무제표 어떤 재무제표를 봐야하나? 정해진 답은 없다.
그러나 주식투자목적이라면 내부거래가 제외된 연결재무제표를 보고 판단하는 것이 수익성의 정확한 측면과 연결실체 전체가 주식시장에서 각 회사의 주가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기억 해야 한다. (ex. 내부거래가 연결회사 간에 많이 존재하는 경우 별도실적은 좋으나 연결실적으로는 마이너스일 수 있다.)
내부거래 규모가 크지 않고 개별회사의 고유 사업부분의 실적이 중요한 경우 별도기준으로 재무분석을 할 필요가 있다. (ex. 삼성전자의 전자부문 실적을 LG전자와 비교하려 하는데 연결기준으로 하는 경우 다양한 종속회사 및 관계회사의 실적 등이 반영되어 정확한 전자사업부문의 비교가 힘들다.)
연결재무제표에서 매출액, 영업이익 등은 지배기업, 종속기업의 실적을 모두 포함함으로 연결 기순이익 중 “지배주주지분 귀속분”만큼의 이익률을 감안해야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