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안내
home
오프라인
home

기업 재무지표와 수익성 지표

1. 기업 재무지표의 이해

기업의 경영 성과를 측정할 수 있는 가장 합리적인 방법은 “숫자”입니다. 이 숫자에는 “얼마나 잘 팔았나?”, “얼마나 효율적인 경영을 했나?” 등의 정보가 들어 있습니다.
이러한 개념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기업의 영업활동과 재무활동 전반을 제공하는 재무제표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2. 기업 재무제표 기초 용어 및 개념

1) 매출

매출은 해당 기업이 영위하는 사업의 영업 결과로 회사가 “판매하는 재화나 서비스의 댓가로 받은 돈”을 의미함. 쉽게 이야기하면 “장사해서 얼마에 팔았다.”는 것을 의미함.
매출이 중요한 이유
회사가 중점적으로 추구하는 사업의 시장성(즉, 팔리냐, 안 팔리냐)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2) 영업이익

영업이익은 판매 활동을 하는데 투입되는 비용을 제외하고 남은 이익을 의미함.
영업이익은 회사가 주로 하는 영업 활동의 수익성을 점검하는 지표

3) EPS의 이해 및 활용

EPS(Earning Per Share, 주당순이익)
EPS는 당기순이익을 기업이 발행한 총 주식수로 나눈 주당 이익을 뜻함.
당기순이익 영업이익과 재무활동에 따른 이익에서 기타 비영업 비용을 제외하면 나오는 이익
EPS는 기업이 얼마나 영업활동과 재무활동을 잘 하였는지를 측정하는 지표
매 분기 단위 또는 매 회계연도 단위로 EPS의 증감을 비교하며 해당 기업의 수익성의 방향을 측정할 수 있음.

4) PER의 이해 및 활용

PER(Price Earning Ratio, 주가수익비율)
PER은 현재 기업의 주가가 주당 이익에 비해 몇 배가 비싼지를 측정하는 가치 측정 지표임.
다만 주가는 매일 변하고 있는 반면 전통적인 관점에서 주당이익은 회사의 사업연도 값을 사용하고 있어 적시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음.
이를 보완하기 위해 매 분기 실적 발표 시 확인되는 EPS를 연간으로 누적하는 방식을 사용하여 적시성의 단점을 보완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음.
PER은 동종 업종, 기업 간에 가치 비교 수단으로 많이 사용합니다.
e.g.)
2024년 상반기 엔비디아의 PER은 평균적으로 70 수준이었고, AMD의 PER은 300에 인접했다.
이 경우 AMD가 업계에서는 엔비디아의 다음 주자로 2등 기업이라고 할 수 있으나, 밸류에이션 측면에서는 엔비디아보다 훨씬 비쌌다고 볼 수 있음.
이러한 이유로 개인적으로 고객들 계좌에 AMD를 한 주도 담지 않았고 그 선택은 맞았다.

3. 기업 재무지표 활용을 돕는 유용한 도구

1) 지표별 사이트

미국의 증권거래위원회 SEC 사이트를 직접 들어가 공시를 확인하는 것 또는 기업의 IR 사이트에서 공시자료를 보는 것도 매우 유익하지만 주니어들에게는 매우 벅찬 시도입니다.
“인베스팅닷컴, CNBC, WeBull, Seeking Alpha, finviz” 등의 앱을 활용하면, 이들을 통해 기업들의 밸류에이션 현황을 한 눈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재무지표 성장성 활용

어떤 기업에 대한 투자로 수익을 실현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뉴스나 재료에 의해 수익을 실현“하는 방법이 있으나 이는 주니어들에게는 독이 됩니다.
주니어들에게는 기본이 충실한 투자와 그에 따른 수익을 맛보는 것이 장기적으로 고객에게 인정받는 길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고객에게 수익을 줄 수 있는 방법은 ”매크로에 대한 이해“를 통해 ”투자의 판“을 확인하고 ”성장성과 수익성“을 겸비하거나 그럴 수 있는 투자 대상을 찾아야 할 것입니다.

3) 개별 기업 정보 파악을 위한 유용한 도구

(1) finviz.com
우선 미국 S&P500 기업의 전체적인 주가 움직임을 체크하는데는 finviz.com을 추천합니다.
업종별 전체 동향 확인
아래 이미지와 같이 finviz 사이트에서 상단 메뉴에서 Maps를 선택하면 아래와 같은 현황판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서 S&P500을 선택하면 업종별로 등락 현황이 확인됩니다. (크롬 브라우저로 한국어 변환 시 지도 선택.)
해당 화면을 통해 업종별 움직임을 확인할 수 있으며, 업종별 특수한 이슈 등이 있거나 어떤 매크로 현상이 특정 업종에 영향을 주고 있는지를 추측할 수 있습니다.
finviz.com은 기업 밸류에이션 비교에도 매우 용이합니다. 대부분의 주식 어플리케이션이 기업의 수익성 지표를 확인할 때 개별 기업을 선택해서 확인하고 비교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면 이 Maps는 동종 업종을 비교하기 편리합니다.
업종 내 밸류에이션 비교
아래와 같이 “P/E(= PER)”를 선택하면 업종에 해당하는 기업의 PER이 표기됩니다. 이때 적색은 고평가, 초록색은 저평가를 의미합니다.
아래 이미지를 살펴보면 엔비디아의 PE는 55, 브로드컴의 PE는 201인 것을 보면 어떤 주식이 어느 정도의 고평가 상황인지 관찰할 수 있으며, PB는 이에 대한 밸류에이션의 정당성 등을 논리적으로 설명할 수 있어야 할 것입니다.
투자은행 및 애널리스트들은 기업의 향후 12개월 실적 전망을 내놓을 때, 지금 기업의 주가와 해당 기업의 향후 이익 추정치를 비교하여 Forward P/E 방식으로 분석하기도 합니다.
Foward P/E: “이 기업이 앞으로 이렇게 이익을 낸다면 지금 주가는 싸다/비싸다”라고 분석하기 위해 사용하는 지표
위와 같이 Forward P/E를 선택하면 아래 이미지와 같이 현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방법으로 주식의 업종별 전체 동향과 업종 내 밸류에이션 비교를 할 때 finviz를 활용 가능합니다.
(2) Webull
두 번째로 소개할 도구는 “Webull”입니다. 이 어플리케이션은 국내외 미국 주식 투자자들이 가장 선호하는 어플리케이션으로 상당히 종합적인 정보를 전달하고자 하는 모습들이 많이 보입니다.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고 이미지와 같이 워치리스트에 관심 기업들을 등록하고, 종목 옆의 우측 박스를 터치하면 정렬 기준이 시가총액, 상승률 등으로 변경되어 다이나믹하게 확인이 가능합니다.
Chart
각 종목을 선택해 보면 차트, 개별 종목 옵션 관련 정보, 관련 뉴스, 애널리스트들의 평가, 기업 정보 등에 대한 시각화가 매우 잘되어 있습니다.
차트 항목에서는 미세한 시간 단위의 캔들 차트 확인도 가능하고 약 한 달 이전까지의 공매도 현황 점검도 가능합니다.
Options
상단의 옵션 메뉴에서는 실시간 단위의 옵션 포지션 변화 및 매매 동향 확인과 전반적인 옵션 투자자들의 포지션 그래프 확인도 가능합니다.
News, Analysis, Company
실시간 단위의 종목 뉴스를 점검할 수 있고, 기업에 대한 투자 의견 현황 그리고 개별 기업의 재무성과에 대한 시각화가 매우 잘 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