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크로로 이해하는 이벤트 케이스 스터디
1. 이벤트(1): 2022년 금리 인상과 인플레이션
2022년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 이후, 러시아에 대한 서방 국가들의 대(對)러시아 제재에 러시아는 가스 송출을 차단했습니다. 그 결과, 천연가스와 국제 유가가 가파르게 상승하는 현상이 나타났습니다.
개인소비지출(PCE) 지수와 천연가스 가격의 추이
이와 함께 2022년 4월부터 인플레이션 공포가 시작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 미 연준은 5월 통화정책 회의에서 0.5%의 금리 인상을 실시했고, 그 다음 회의에서 0.75%의 금리 인상을 단행했습니다.
2022년 11월까지 미 연준은 총 네 번의 0.75% 금리 인상을 실시했고, 급격한 금리 인상의 영향으로 나스닥 지수는 충격적인 하락을 기록했습니다.
연방기금실효금리(FFER)의 추이
•
금리를 올렸는데도 인플레이션이 잡히지 않았던 이유?
◦
미국 가계의 소비가 너무 강했고 소비의 배경에는 탄탄한 고용이 있었기 때문
개인소비지출(PCE) 지수와 연방기금목표금리의 추이
2. 이벤트(2): 미국 실업률의 상승과 시장 하락
2024년 8월 미국의 실업률이 4.3%를 기록하면서 주가지수가 급락했습니다. 고용시장의 패닉이 왔다는 헤드라인이 지배하며 주식에 대한 투매가 나타났습니다.
고용 지표와 S&P500 지수의 추이
그러나 그 투매는 오래 가지 않았고 시장은 일주일 만에 원래 위치를 회복했습니다.
•
시장이 빠르게 회복한 이유
◦
실업률이라해도 실제 해고가 증가한 것이 아니라 구직자가 증가했었기 때문
PPT 강의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