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안내
home
오프라인
home

재무비율 분석

강의자료
커리어하이 3주차 및 4주차 재무비율 분석 및 기업분석.xlsx
381.3KB

재무비율의 이해와 재무비율 분석하기

주요 재무비율의 개념 - ① 안정성 지표

기업재무분석은재무비율(financial ratio)을 통해서 한다.
재무비율을 통해서 기업의 재무상태와 경영성과를 분석하는 방법을 재무비율분석이라 한다.
비교대상이 존재해야 한다 (산업평균, 동종기업, (본 기업의)추세 등)
안정성 지표 : 기업의 단기지급능력 등 유동성 파악과 외부차입금 상환능력 등 기업 재무 안정성 검토를 위한 지표
① 부채비율
= 부채/자본 x 100 (%)
• 자본 대비 부채를 얼마나 가지고 있는지 나타내는 지표 (일반적으로 50%이하 매우 양호, 50%초과~100%는 양호, 100%~200% 보통, 200~400% 불량, 400%초과 매우 불량) ※ 부채에 이자발생부채만 반영 → 비이자발생부채(매입채무, 선수금, 미지급금, 퇴직급여충당부채)등은 제외할 수 있다. ※ 부채비율 고려 시, 보수적으로 부채에 제3자에 대한 지급보증, 담보제공, 피소금액을 가산하고 차입금 중 대주주 및 특수관계자 차입금은 차감할 수도 있음 → 특수관계자: 기업과 밀접한 경제적 관계를 가지며 경영 의사 결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개인 또는 법인
② 유동비율
= 유동자산/유동부채 x 100 (%)
• 기업의 단기적 현금 지급능력을 나타내는 지표 (일반적으로 150%이상 양호, 100~150%는 보통, 100%미만은 불량) ※ 유동자산에 인출에 제한이 없는 장기금융상품은 가산, 인출에 제한이 있는 단기금융상품, 담보로 제공된 유가증권, 대주주 앞 단기대여금, 판매 불가능한 재고는 차감
③ 자기자본비율
= 자본/총자산 x 100 (%)
• 자본구조를 나타내는 지표 • 자기자본비율이 높다는건 기업의 자본(이익잉여금)이 증가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기업의 수익성과 안정성을 판단할 수 있다.
④ 차입금의존도
= 차입금/총자산 x 100 (%)
• 차입금이 총자산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 (일반적으로 40%이상 과다, 30~40%는 주의, 30%미만은 정상적수준)
④ 이자보상배(비)율
= 영업이익/이자비용 x 100 (%)
• 기업의 주요 영업 활동을 통해 얻은 영업 이익이 연간 부담해야 하는 이자 비용을 얼마나 안정적으로 상환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
※ 참고: 안정성 지표계산시 총자산 중 토지가 존재한다면, 토지장부가액과 공시지가 차액을 자산에 가산할 수 있다.(토지의 공정가치 반영)
→ 토지가 취득 시점의 가격으로 계상되어 있을 경우, 그 토지의 현재 가치를 반영하기 위한 조치
→ 토지의 가치 상승분을 인식함으로써 유동비율, 자기자본비율 등 지표를 긍정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주요 재무비율의 개념 - ② 활동성 지표

기업재무분석은 재무비율(financial ratio)을 통해서 한다.
활동성 지표 : 기업의 주요 영업활동(매출,매입, 재고관리) 등을 얼마나 잘 효율적으로 하고 있는지를 파악 가능
① 매출채권회전율
= 매출액/평균매출채권 → 편균매출채권: 재무상태표 기초, 기말 매출채권의 산술평균
• 매출채권이 현금으로 회수되는 기간을 나타내는 지표 • 매출채권이 회수되는 기간 짧다면 매출채권 평균잔액이 낮아질 것임으로 매출채권 회전율이 더 늘어난다. • 매출채권회전율이 높을수록 매출채권의 현금회수가 빠르다. (유동성 좋다) • 그러나 극단적으로 높다면, 회사의 신용정책(외상판매)이 보수적이라 매출 증대에 제약요소 로 작용가능
② 재고자산회전율
= 매출원가/평균재고자산 → 평균재고자산: 재무상태표 기초, 기말 재고자산의 산술평균
• 일정 기간 동안 재고 자산이 얼마나 빨리 판매되고 교체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 • 재고자산회전율이 높을수록 회사의 영업활동이 효율적임을 의미한다. • 그러나 극단적으로 높다면, 회사가 적정 재고 수준을 관리하지 못해 매출 증대에 제약요소로 작용가능
③ 매입채무회전율
= 매출원가/평균매입채무 → 평균매입채무: 재무상태표 기초, 기말 매입채무의 산술평균
• 일정 기간 동안 기업이 매입채무를 얼마나 빠르게 상환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 • 매입채무회전율이 높을수록 기업이 매입채무를 신속하게 결제하여 공급업체와의 신뢰를 유지하고 있을 가능성을 의미한다. • 그러나 극단적으로 높다면, 과도한 현금 유출로 인해 재무 유연성 저하 위험으로 작용 가능
④ 매출채권회수기간
= 365일/①매출채권회전율
• 기업이 매출 후 현금을 회수하는 데 걸리는 평균 기간을 나타내는 지표 • 회수기간이 길면 고객이 늦게 대금 지급/ 짧으면 빨리 대금 지급하는 상황이다.
⑤ 재고자산회전일수
= 365일/②재고자산회전율
• 재고 자산이 평균적으로 몇 일 동안 보유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 • 재고자산의 평균 보유기간 짧을 수록 재고가 잘 팔려나가는 상황이다. 기간이 길다면 재고자 산의 진부화 위험이 증가한다. 반면에, 기간이 너무 짧으면 재고부족이 발생할 수 있다.
⑥ 매입채무지급기간
= 365일/③매입채무회전율
• 기업이 매입채무를 결제하는 데 걸리는 평균 기간을 나타내는 지표 • 매입채무 결제가 짧을 수록 기업의 현금 흐름이 원활하고 공급업체와의 관계가 양호할 가능성을 의미한다.
⑦ 총자산 회전율
= 매출액/평균총자산
• 기업의 총 자산이 얼마나 효율적으로 매출로 전환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 • 자산의 효율성을 보여주며, 일반적으로 제조업이 소매기업보다 낮은 회전율을 보인다.
→ 재무비율을 고려할 경우 한가지의 재무비율로 평가하는 것이 아닌, 다양한 지표들을 복합적으로 고려하여야 한다.
※ 참고: BS계정의 평균금액은 (기초장부가액 + 기말장부가액)/2 로 계산할 수 있다.

주요 재무비율의 개념 - ③ 성장성 지표, ④ 수익성 지표

성장성 지표 : 기업의 과거 시점 대비 실적이 개선되고 있는지 악화되고 있는지 보여주는 지표
① 매출액증가율
= (당기매출액-전기매출액)/전기매출액 x 100 (%)
② 영업이익증가율
= (당기영업이익-전기영업이익)/전기영업이익 x 100 (%)
③ 당기순이익증가율
= (올해당기순이익-전기당기순이익)/전기당기순이익 x 100 (%)
④ 총자산 증가율
= (당기말자산-전기말자산)/전기말자산 x 100 (%)
→ 매출액증가율, 영업이익증가율, 당기순이익증가율의 증가 재무상태표 자본(이익잉여금)에 축적됨
→ 자산(현금, 유형자산)이 증가하여 총자산 증가율 또한 높아진다.
→ 즉, 성장성 지표가 높아질수록 성장하는 기업이다.
수익성 지표 : 기업의 경영성과의 질을 파악하고 자산 및 자기자본대비 창출되는 기업의 수익성을 보여주는 지표
① 매출총이익률
= 매출액총이익/매출액 x 100 (%)
매출총이익 = 매출 - 매출원가
② 영업이익률
= 영업이익/매출액 x 100 (%)
영업이익 = 매출총이익 - 영업비용
③ 당기순이익률
= 당기순이익/매출액 x 100 (%)
④ 총자산순이익률(ROA)
= 당기순이익/총자산 x 100 (%)
= N/I/Sales x Sales/Assets 순이익률 총자산회전률
⑤ 자기자본이익률(ROE)
= 당기순이익(N/I)/자본(Equity) x 100 (%)
• 주주가 투자한 자본이 얼마나 높은 수익을 창출하는지를 보여주는 지표 • 기업의 핵심 지표
⇒ Dupont analysis
= N/I/Sales x Sales/Assets x Assets/Equity ··· 3 way 분석 순이익률 총자산회전률 레버리지(자본구조)
⑥ 주당이익률(EPS)
=당기순이익/주식수

3개년 재무제표를 가지고 재무비율을 분석해 보자

3년차 재무제표까지 완성해 보았다. 이를 통해 주요 재무비율을 분석해 보자
<LG CNS의 사업실적>
구 분
2024년(E)
2024년 3Q
2023년
2022년
2021년
1) 매출액
5,277,896
3,958,422
5,605,300
4,969,651
4,143,140
2) 매출원가
4,451,159
3,338,370
4,770,447
4,237,641
3,526,176
-매출원가율(%)
84%
84%
85%
85%
85%
3) 매출총이익(1)-2))
826,736
620,052
834,853
732,010
616,964
-매출총이익률(%)
16%
16%
15%
15%
15%
4) 판매관리비
409,716
307,287
370,805
346,616
288,379
5) 영업이익(3)-4))
417,020
312,765
464,048
385,395
328,585
-영업이익률(%)
8%
8%
8%
8%
8%
6) 영업외수익비용
(12,531)
(9,398)
(21,386)
(20,531)
(12,494)
- 금융수익
34,128
25,596
36,407
18,190
9,760
- 금융비용
(28,770)
(21,578)
(39,559)
(19,485)
(15,015)
- 지분법손익
8,264
6,198
14,839
5,456
4,046
- 기타영업외 수익
48,266
36,199
46,855
49,446
24,739
- 기타영업외 비용
(74,418)
(55,814)
(79,927)
(74,137)
(36,025)
7) 세전이익
404,489
303,367
442,662
364,864
316,090
8) Tax
94,192
70,644
110,310
99,896
81,144
9) 당기순이익
310,297
232,723
332,352
264,968
234,946
-당기순이익률(%)
6%
6%
6%
5%
6%
*기타정보*
10) 감가상각비
102,068
76,551
97,285
88,888
- 감가상각비
83,649
62,737
75,716
69,788
- 무형자산상각비
18,419
13,814
21,569
19,101
11)EBITDA
519,088
389,316
561,334
474,283
답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