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멘토의 시황 노트
1) 멘토의 시황에서 프레임 찾기
•
중요한 것은 ‘나 자신과 고객이 오늘 시장 전반을 이해할 수 있는가?’입니다.
•
즉, 사람의 기억에 남기 쉽도록 정리했는지가 매우 중요합니다.
◦
왜 하락했는지, 왜 상승했는지, 섹터별 움직임은 왜 그랬는지, 우리가 작성한 시황 노트를 통해 “흐름이라도 기억을 할 수 있는지”가 중요하고 “흐름이라도 기억할 수 있도록” 작성하기 위한 구조를 만들어야 합니다.
•
멘토의 프레임 예시
1.
주요 이슈를 제목으로 정하고, 금융시장 흐름 파악하기
장 마감 후 시장에서 가장 눈에 띄는 이슈(e.g. 마이크로소프트가 2025년 6월까지 800억 달러를 데이터센터에 투자한다고 했다면 관련 이슈)를 찾아 제목으로 정하고 미국 주식 시장의 시간대별 흐름을 정리하면서 전체 금융시장의 흐름을 정리.
2.
관심 기업 및 섹터 동향 정리
빅테크 주요 기업의 주가 동향 및 주가에 영향을 준 이슈를 새벽에 다시 찾아 기재하고, 반도체 섹터의 주요 기업 이슈를 새벽에 다시 찾아 정리, 자동차 업체 동향을 다시 찾아 정리하는 방식으로 업종별 이슈를 기재함.
3.
관심 외 섹터 정리 및 금리 동향 파악하기
개인적으로 주요 관심사가 아닌 섹터의 흐름 중 특이사항이 있는 경우 해당 내용을 정리하고 마지막에 금리 동향(그 이유는 지금 금리가 가장 중요하기 때문에)과 관련된 그날의 이슈를 정리함.
2) 주요 관심 산업 선정하기
•
매크로 동향만 파악해서는 PB로 모든 영역을 커버하기 어렵습니다. 왜냐하면 증권사에서 취급하는 상품은 ‘주식’을 기초로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
취업 후 영업점 현장을 가보면 더욱 실감할 수 있을 것입니다. 대부분의 고객이 이유가 어떻든 주식과 관련한 투자를 위해 계좌를 개설하고 입금하는 경우가 압도적으로 많습니다.
◦
주식을 투자한다는 것은 매크로 중심으로 지수를 취급할 수도 있겠지만 지수 수익률을 추구하는 투자자 비율은 상대적으로 적고 더 높은 수익률을 추구하기 위해 개별 종목 투자를 원하는 경우가 경험적으로 더 많았습니다.
•
따라서 PB로 취업을 생각한다면 여러분도 대중들이 관심을 두고 있는 특정한 산업이나 섹터가 있어야 합니다.
2. 멘토와의 대화 실습
•
수강생이 선정한 프레임과 관련된 내용 논의
•
시황 고민 또는 학습 중 어려운 점 확인
3. 멘토와 실제 시황 노트 작성 실습
•
시황 노트 작성 실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