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안내
home
오프라인
home

대체투자 투자 프로세스

대체투자 영역 뿐만 아니라 금융의 영역에서 대부분의 투자가 다음의 프로세스로 진행됩니다
딜소싱 → NBO 제출 → BO 제출 → LOC 제출
커리어하이, 대체투자 프로세스

1. 사업발굴 (딜소싱, Deal Sourcing)

자본조달 기회를 발굴하는 단계
딜소싱 방법:
1.
공개 입찰: 자금 조달이 필요한 기업(또는 사람)이 입찰 공고를 통해 금융 시장의 모든 사람들에게 입찰을 진행하는 방식
2.
비공개 입찰: 네트워킹, 과거 성과 등을 기반으로 참여하는 사람들을 제한하여 입찰을 진행하는 방식
3.
비공개 발굴: 인적 네트워크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연결되어 투자기회를 발굴하는 방식
최근 시장이 발달하면서 비공개 입찰 방향으로 기회가 확장되는 중
정보 비대칭이 심하고 유동성이 제한적인 대체투자 분야의 특성 상, 인적 네트워크 등을 통해 사업발굴하는 경우가 많았음
상업용 부동산의 경우, 비공개 입찰이 메인 딜소싱 방안이 되었으며, 실무 팀에서는 딜소싱보다 자금 조달 기능이 더욱 강조되고 있음
Secondary market(펀드나 리츠 등이 보유한 자산이 만기 등의 사유로 일정 시간 후 재매각이 이루어지는 시장)도 커지고 있어, 공개입찰을 통해서도 사업발굴이 많이 이뤄지는 편

2. 예비 입찰 (1st round)

투자기회를 발굴하고, 참여하겠다는 의향을 제시하는 단계
예비 입찰 프로세스:
1.
비밀유지확약 계약 체결 및 자료 수령
투자기회를 발굴하게 되면 검토에 필요한 최소한의 자료를 제공받으며, 이를 기반으로 분석이 진행됨
이때 보통 매각을 대행하여 진행하는 자문사가 TM(Teaser Memorandum) 또는 Teaser IM(Information Memorandum)을 제공함
비밀유지확약서(Confidentiality Agreement or Non Disclosure Agreement) 서명을 요구함
2.
해당 자료 검토 및 리서치 진행
3.
NBO(Non Binding Offer) 제출
NBO(Non Binding Offer): 법적으로 구속받지 않는 제안서
해당 투자기회에 대해서 검토 및 투자를 할 의향이 있다는 것을 공식적으로 표명하는 것에 의미가 있음
투자를 하는 기관의 입장에서는 아직까지 외부기관의 실사 등을 진행하지 않은 과정에서 제한된 정보만으로 검토할 수 밖에 없어 NBO를 제출한다는 것이 강력한 의지로 표명됨
NBO에 포함되는 핵심내용:
구분
내용
제출인
- 제출인의 정보 - 컨소시엄 구성 시, 컨소시엄 구성원들의 정보도 함께 기재
제출인의 개요
- 주주의 구성, 재무상태, 참여 목적 등을 기재 - 입찰 참여자의 적격성 여부를 판단하는 근거
입찰가격
- 투자대상에 대한 가장 중요한 입찰 조건
자금조달계획
- 타인자본 및 자기자본의 구성 비율 - 자금 조달의 방법
자문기관의 구성
- 실사기간 - 실사 참여 자문기관의 구성
법률적인 구속력은 없으나 자금을 조달하는 입장에서는 시장의 관심도나 상황 등을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정보가 되기 때문에, 반응이 없으면 투자 유치를 철회하기도 함
참고) BO(Binding Offer)는 LOI(Letter of Intent)보다 좀더 formal한 형태의 문서로 법적 구속력을 가짐

3. 본 입찰 단계 (2nd Round)

NBO 제출 후 매수인은 투자 참여 의지가 있는 참여자(Short List)를 선정하게 되며, 이후 Binding Offer(BO)를 제출 받아 우선협상대상자(Preferred Bidder)를 선정
본 입찰 프로세스:
1.
Short List 선정
NBO를 제출한 잠재매수자 또는 투자자 중에서 가격, 자금조달 능력(딜 클로징 능력) 등을 고려하여 일부 후보자를 최종 BO제출 대상자로 선정하는 것
모든 입찰은 단순히 높은 금액만을 고려하는 것이 아니라 자금조달 능력(딜 클로징 능력)을 반드시 고려하게 됨
2.
자료 검토
VDR (Virtual Data Room)를 통해 검토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
CIM(Confidential Information Memorandum) 등 투자 의사결정에 필요한 구체적인 자료가 제공됨
필요 시, 실사 또는 질의응답 진행
3.
BO(Binding Offer) 제출
법적 구속력이 있는 입찰 제안서를 제출하는 단계
투자 또는 매입하고자 하는 대상에 대한 재무분석가정, 가격, 일정 및 매수자에 대한 정보를 기재하여 제출하게 되며, NBO의 목차와 크게 다르지 않음
다만 법적 구속력이 있기 때문에 신중하게 작성되며, 향후 상호간의 합의하에 Binding Offer에 제시한 조건은 변경할 수 있음

4. 우선협상대상자 선정 및 실사

본 입찰에서 선정된 한명의 우선협상 대상자가 실사를 진행하여, 제출한 BO 이행을 위해 검증하는 단계
1.
우선협상대상자(Preferred Bidder) 선정
BO 제출자 중 가격, 딜 클로징 능력 등을 고려하여 최종적으로 Due Diligence(실사) 진행 및 계약서 협상을 진행할 우선협상대상자 선정
우선협상대상자는 지정된 기간동안 독점적으로 자금조달자와 자금조달에 대해 협의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짐
상업용 부동산의 경우, 우선협상 대상자 선정 시 이행보증금을 납입해야하며 환불불가 방식(Hard deposit)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음
이행보증금은 환불이 가능한 soft deposit, 환불이 불가능한 hard deposit으로 구분
Hard deposit 방식의 이행보증금의 경우, 우선협상대상자가 BO를 이행을 하지 않을 경우 보증금 전액을 돌려받지 못함
2.
Due Diligence (실사)
실사(Due Diligence)를 통해 BO를 제시했던 가격을 검증하고, 거래 조건을 협상하는 등 자금조달을 위한 최종 조건을 합의
주로 법률실사, 재무실사, 물리실사, 기술실사, 환경실사 등을 진행하며, 제3의 전문 기관에 의뢰하여 전문성을 보강함
실사를 통해서 사전에 제공한 자료로 검증하기 어려운 점을 발견하거나, 급격한 시장 상황의 변경이 발생하는 경우 가격이 조정됨
우선협상 기간 중 상호간에 조건이 합의되지 않는 경우, 우선협상의 권한이 박탈되며 자금조달자의 선택에 따라 차순위자에게 권한이 부여되거나 자금조달 자체가 취소되기도 합니다.

5. LOC 제출 및 거래 종결 (Financing Closing)

모든 실사를 마치고 우선협상대상자와 거래를 종결하는 단계
1.
LOC 제출
협상을 통해 거래에 대해 양사가 합의를 하게 되면, 최종적으로 자본 조달에 참여하는 사람들이 투자확약서(LOC, Letter of Commitment)를 제출
투자확약서에는 금융자산, 비즈니스, 프로젝트 또는 기타 투자 포트폴리오에 투자를 하기로 약정하며, 투자금액, 자금 납입기한 등을 적음
LOC는 법적 구속력이 있기 때문에 자금유치가 확정된 것으로 판단하며 통상 자본 조달에 참여하는 투자기관들이 투자심의 절차를 완료한 뒤에 발급됨
2.
Financial Closing (거래 종결)
계약 체결 및 자금 납입 등 모든 절차를 마치는 것을 의미
매수인 및 매도인간, 금융기관 및 투자자간의 업무를 종결하는 것
LOC 제출 이후, 서류 상의 절차를 거치며 모든 계약이 종결되는 시점을 의미
Financing Closing 당일, 또는 다음날까지 모든 자금이 이체가 되어 자금 조달이 완료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