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금흐름표
1. 현금흐름표란?
⇒ 일정 기간 동안의 기업 현금의 유출입을 나타내는 재무제표
•
현금흐름표(Cash flow Statement)는 일정 기간동안(주로 회계기간)에서의 기업 현금의 유입 및 유출을 보여주며 기초현금으로부터 기말현금까지의 변동을 나타내는 재무제표이다.
→ 즉, 회사가 일정 기간 동안 현금이 늘었는지 줄었는지 보여주는 표이다.
•
현금흐름표는 현금주의로 작성 된다.
→ 대차대조표 및 손익계산서는 발생주의로 작성됨으로 현금흐름표는 발생주의 한계점을 보완해준다.
◦
회사가 운영되고 영업을 할 때 가장 핵심이 되는 자산은 현금 및 현금성 자산이다. 이는 1) 부채 상환 2)원재료 구매 3) 급여 지급등의 이유로 매우 중요하다. 이처럼 회사 자산 중에서 가장 활용성이 높고, 회사의 유지에 가장 중요한 것이 현금이다. 따라서 기업들은 현금흐름표를 별도로 작성하여 현금의 흐름을 자세히 보여준다.
•
현금흐름표 상 현금흐름은 크게 1) 영업활동현금흐름, 2) 투자활동현금흐름, 3) 재무활동현금흐름으로 구분된다.
•
현금흐름표의 3가지 현금흐름
구분 | Inflows(현금유입) | Outflows(현금유출) |
CFO (영업활동) | • 고객에게 매출로 인한 현금유입
• 이자의 수취 → 회계기준에 따라 투자•재무활동이 될 수 있음
• 배당금 수입 → 회계기준에 따라 투자•재무활동이 될 수 있음 | • 공급자에게 매입으로 인한 현금유출
• 종업원에게 급여 지급
• 이자의 지급
• 법인세 납부액 |
CFI (투자활동) | • 유무형자산의 매각으로 인한 현금유입
• 투자된 지분증권 및 채무증권의 매각으로 이한 현금유입
• 대여금 원금 회수로 인한 현금유입 | • 유무형자산의 매입으로 인한 현금유출
• 지분증권 및 채무증권의 매입으로 인한 현금유출
• 타법인 등에게 대여금 지급으로 인한 현금 유출 |
CFF (재무활동) | • 유상증자시 현금유입
• 금융기관 차입 시 현금유입
• 사채발행시 현금유입 | • 금융기관 대출 상환 시 현금유출
• 사채상환시 현금유출
• 자기주식 취득 시 현금유출
• 배당금의 지급 시 현금 유출 |
✓ 사업 초기와 성숙단계에서 각각 어떤 현금흐름이 발생할까?
•
사업 초기 단계: 투자활동 현금 유출↑, 재무활동 현금 유입↑, 영업활동 현금흐름↓
◦
유형자산(기계장치, 설비 등)을 취득하기 위해 CFI(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 유출이 상당히 발생한다. 이는 회사가 장기적인 성장을 도모하고 생산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대규모 자본 지출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
이와 동시에 초기 투자 비용을 확보하기 위해 CFF(재무활동)을 통해 대규모 자금이 유입된다. 이는 회사가 필요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다양한 금융 활동을 펼치는 것을 의미한다.
◦
반면, CFO(영업활동)로 인한 현금흐름은 크게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회사의 일상적인 영업 활동이 현금 창출에 크게 기여하지 못할 가능성을 나타낸다.
•
성숙 단계: 영업활동 현금 유입↑, 투자활동 현금 흐름↓, 재무활동 현금 유출↑
◦
회사의 안정화 단계에서는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 유입이 크게 발생하는 반면, 추가적인 유무형 자산 매입이 줄어들어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 유출이 크게 감소한다. 이는 회사가 안정적인 수익을 창출하면서, 자산 효율성을 높이고 있음을 의미한다.
◦
회사가 수익을 창출하기 시작하면서, 과거에 빌린 자금을 상환하기 시작한다. 이는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 유출을 의미하며, 원리금 상환과 배당금 지급 등이 포함된다.
◦
그러나 사업이 성숙 단계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 유입이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 유입보다 많다면, 이는 몇 가지 가능성을 시사한다:
1.
영업 부진: 회사가 영업을 잘 못하여 매출이 부진하고, 운영 자금이 부족하여 추가 대출을 받은 경우.
2.
신규 투자: 새로운 사업 진출 등을 위한 자본 마련을 위해 추가 유상증자나 차입금이 발생한 경우. 이 경우 회사가 성장 기회를 모색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
따라서 현금흐름 분석 시 각각의 현금흐름의 크기, 발생 시점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해야 한다. 이를 통해 회사의 재무 상태와 전략을 명확히 이해하고, 향후 재무 계획을 수립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2. 현금흐름표의 현금흐름 계산방식
1) 간접법 방식
•
간접법 방식의 현금흐름 계산 순서
1.
손익계산서 당기순이익에서부터 출발
2.
비현금비용 가산 (ex. 감가상각비, 퇴직급여, 금융비용)
a.
비현금비용: 손익계산서 상 비용으로 인식되어있지만 실질적으로 현금이 나가지 않는 비용
b.
감가상각비: 자산의 원가를 그 사용 기간 동안 체계적으로 배분하여 비용으로 인식하는 회계 처리 방법. 유형자산 취득 시 현금이 유출됐지만, 손익계산서 상 비용은 내용연수 동안 매년 비용 처리 된다.
3.
비영업활동 관련 손익 가감 (ex. 유형자산처분이익/손실, 사채상환이익/손실 등)
a.
유형자산처분: CFI(투자활동 현금흐름)으로 분류
b.
사채상환: CFF(재무활동 현금흐름)으로 분류
4.
영업활동 관련 자산 / 부채의 증감 반영
1) 영업활동관련 자산은 현금흐름과 역방향 : 매출채권 증가(현금감소), 재고자산 감소(현금증가)
2) 영업활동관련 부채는 현금흐름과 정방향 : 매입채무 증가(현금증가), 미지급급여 감소(현금감소)
•
현금흐름표 예시 및 간접법 방식으로 현금흐름 계산
예제 1) 간접법 방식으로 영업활동 현금흐름 구하기
-당기순이익: 100
-감가상각비: 25
-유형자산처분이익: 20
-매출채권 | 기초: 30, 기말: 40
-재고자산 | 기초: 20, 기말: 10
-매입채무 | 기초: 20, 기말: 40
-미지급급여 | 기초: 20, 기말: 10
당기순이익 100
감가상각비 25 ← 비현금비용
유형자산처분이익 (25) ← 비영업활동 관련 손익
매출채권 (10) ← 영업활동 관련 자산은 현금흐름과 역방향
재고자산 10 ← 영업활동 관련 자산은 현금흐름과 역방향
매입채무 20 ← 영업활동 관련 부채는 현금흐름과 정방향
미지급급여 (10) ← 영업활동 관련 부채는 현금흐름과 정방향
———————————
현금유입 115
2) 직접법 방식
•
직접법 방식의 현금흐름 계산 순서
1.
주요 활동별로 현금 유출입액을 직접 계산
2.
매출로 인한 현금유입액: 손익계산서상 매출액 + 매출과 관련된 재무상태표계정 증감효과 가감(ex 매출채권, 선수금 등)
3.
매출원가로 인한 현금유출액: 손익계산서상 매출원가 + 매입과 관련된 재무상태표계정 증감효과 가감(ex 재고자산, 매입채무 등)
4.
종업원에 대한 급여: 손익계산서상 급여 + 미지급급여 등의 증감효과 가감
•
직접법의 장점: 회사의 현금/유출입을 활동별로 직관적으로 이해 가능
•
현금흐름표 예시 및 직접법 방식으로 현금흐름 계산
예제 2) 직접법 방식으로 영업활동 현금흐름 구하기
-매출 400 / 매출원가 200 / 급여 95
-당기순이익: 100
-감가상각비: 25
-유형자산처분이익: 20
-매출채권 | 기초: 30, 기말: 40
-재고자산 | 기초: 20, 기말: 10
-매입채무 | 기초: 20, 기말: 40
-미지급급여 | 기초: 20, 기말: 10
1) 매출: 400 - 10 = 390 ← 손익계산서상 매출액 + 매출채권 10 증가
2) 매입: (-) 200 + 10 + 20 = (-)170 ← 손익계산서상 매출원가 +재고자산 10 감소 + 매입채무 20증가
3) 급여: (-) 95 - 10 = (-)105 ← 손익계산서상 급여 + 미지급급여 10 감소
———————————————
현금유입 115
구분 | 비율 | 2023년 |
1) 매출액 | 50,000 | |
2) 매출원가 | 37,360 | |
- 매출원가율(%) | 75% | 75% |
3) 매출총이익(1)-2)) | 12,640 | |
- 매출총이익률(%) | 25% | |
4) 영업비용 | 6,605 | |
- R&D비용 | 5% | 2,409 |
- 판매관리비용(S&A) | 8% | 4,196 |
5) 영업이익(3)-4)) | 6,035 | |
- 영업이익률(%) | 12% | |
6) 이자비용 | 5% | 500 |
7) 세전이익(5)-6)) | 5,535 | |
8) Tax | 20% | 1,107 |
9) 당기순이익 | 4,428 | |
- 당기순이익률(%) | 9% | |
10) 기초현금 | 1,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