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익계산서
손익계산서란?
⇒ 일정 기간 동안의 기업의 경영 성과를 나타내는 재무제표
→ 회계 기간 (주로 1/1~12/31)
•
K-GAAP상 손익계산서(Income Statement)는 K-IFRS 에서는 포괄손익계산서(Statement of Comprehensive Income)라고도 부르며, 일정 기간동안(주로 회계기간)에서의 기업의 경영성과를 나타내는 재무제표이다.
→ 즉, 회사가 일정기간동안 얼마나 벌었는지 아니면, 손해를 봤는지를 보여주는 표이다.
◦
K-GAAP
▪
일반 회계기준(Korean Generally Accepted Accounting Principles)
▪
IMF 이전 미국 회계기준 (US-GAAP)을 따라 도입
▪
재무제표, 손익계산서
◦
K-IFRS
▪
한국 채택 국제 회계기준(Korean 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
▪
IMF 이후 유럽의 국제 회계기준(IFRS)에 따라 도입
▪
연결재무제표, 포괄손익계산서
▪
상장사 또는 외부 감사를 받아야 하는 일정 규모 이상의 기업들이 적용
▪
자본 변동에 대한 내용 등 K-GAAP 대비 많은 정보를 담고 있음
•
포괄손익계산서 = 손익계산서(I/S) + 기타포괄손익(주주와의 자본거래를 제외한 모든 거래로 인한 자본변동)
•
기타포괄손익의 예
→ 미실현손익이 자본으로 반영되는 케이스
→ 회사가 손익으로 인식했지만, 실현되지 않은 손익
◦
보험수리적손익: 퇴직급여부채 추정 시 보험수리적 가정을 적용하는 데 이런 가정이 매년 변동함에 따른 손익
▪
근속년수, 퇴사율, 사망률 등 퇴직급여 산출 요인의 변동에 따른 부채금액 변동
◦
매도가능금융자산평가손익: 매도가능증권으로 분류되는 투자주식을 기말시점에 공정가치로 평가함에 따른 평가손익
◦
해외사업환산손익: 해외종속기업을 원화로 재무제표 환산하는 경우 환율차이 등으로 발생하는 미실현손익
◦
그 밖에 관계기업투자자본변동, 현금흐름위험회피회계 파생상품평가손익 등
+ ∂ ) 재무분석을 위한 재무비율(e.g. ROE, ROA)등을 구할 때, 기타포괄손익을 고려하지 말자
WHY?
•
미실현손익이기 때문
•
회사가 영업활동을 통해 실질적으로 벌어들인 항목이 아닌, 자본변동에 의한 효과
•
손익계산서 및 포괄손익계산서의 예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