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석의 개념과 이해
1. 주석의 개념
•
재무제표의 주석(footnote)이란?
⇒ 기업의 회계정책이나 재무제표의 작성근거, 재무제표 본문에 표시되지 않는 투자관련 정보 등 재무제표를 이해하기 위해 필요한 자세한 설명과 보충 정보를 제공.
즉, 숫자만 적혀 있는 재무제표의 설명서로 글자와 숫자로 좀 더 구체적 정보를 제공한다.
[주석사항을 통해 확인 가능한 정보]
1.
현금 및 현금성자산 / 장단기 금융상품 주석 : 사용이 제한된 금융자산 규모가 확인 가능하다.
(기업의 여유자금 : 현금 및 현금성자산 + 장단기금융상품 – 차입금)
→ 사용 제한 금융자산: 차입금 대출을 위한 금융상품 담보, 질권 설정 시에는 사용 제한이 있는 금융상품은 유동성 자산으로 활용 불가. 따라서, 기업의 여유자금를 판단할 때는 이를 배제
→ 차입금 상환하면 그에 따른 사용 제한 조건이 사라지면서 기업의 사용 제한 금융자산의 제한이 풀리게 된다. 이는 기업이 현금 및 금융자산을 보다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다.
2.
매출채권 주석 : 재무상태표상 매출채권이 순액으로 표시된 경우 매출채권의 대손충당금 규모를 통해 매출의 회수가능성에 대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3.
재고자산의 주석 : 재고자산의 평가 충당금 규모, 재고자산 평가손실, 감모손실 등의 여부를 파악 가능하다.
4.
차입금의 주석 : 차입금의 종류와 종류별 유동(1년 이내)/비유동성(1년 이상) 구분, 회사의 사채발행내역(이자율, 만기) 등을 파악가능
→ 부채 상환 스케줄 등 파악 가능
5.
판매관리비 주석 : 판매관리비 세부내역 등을 파악가능
6.
기업의 소송이슈 및 예상 소송가액을 파악 가능
→ 기업의 부채 검토 시 중요 정보
7.
기업의 우발부채와 약정사항 등을 파악가능
※ 우발부채: 현재는 부채로 인식되지 않지만, 미래의 특정 사건이나 상황에 따라 부채가 될 가능성이 있는 항목
→ 기업의 부채 검토 시 중요 정보
※ 약정사항: 기업이 제3자와 맺은 계약이나 협약을 의미. 이는 기업의 재무 상태나 경영 활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양한 법적 의무나 권리를 포함(ex.연대보증)
8.
특수관계자 간 거래내역을 파악 가능
→특수관계자를 주의깊게 보는 이유: 그들 간의 거래가 일반적인 시장 조건에서 이루어지지 않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특수관계자는 기업과 밀접한 관계에 있는 개인이나 법인으로, 이들 간의 거래는 공정성과 투명성을 해칠 수 있다.
9.
회사보유 부동산의 공시지가도 파악 가능
→ 재무상태표 상에는 나타나지 않는 가치 증가분을 확인할 수 있다.(ex. 토지의 처분가치)
→ 회사가 부동산이나 토지를 보유하고 있을 경우, 자산의 가치를 공정가치로 표시한다. 이때 토지의 공시지가 등은 별도로 기재함으로써 회사가 어디에서 자산을 보유하고 있는지, 공시지가가 현재 시가와 얼마나 차이가 나는지를 반영.
10.
기업의 개요, 주주구성, 회계정책
→ 기업의 회계정책 등을 기재(ex. 수익을 인식하는 시점과 방법, 자산의 감가상각 방법과 기간)
•
공시된 사업보고서상의 “주석”을 통해 주요 정보를 찾아보고 그 의미를 이해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