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안내
home
오프라인
home

멘토의 시황 정리 엿보기

1. 개장 전

1) 구글 검색 기반 기업 및 섹터 검색

관심 주제 선정
개장 전 개인적으로 관심이 있거나 관리 자산의 투자 비중이 높은 분야의 뉴스를 모니터링 합니다. 여러분도 관심 산업이나 주제를 정해야 하며 본인의 투자를 위한 것이 아니라면 대중적인 분야를 중심으로 관심 주제를 정해야 할 것입니다.
멘토의 관심 주제
개인적으로 “테슬라, 전기차, 배터리, 에너지, 로보틱스”와 “빅테크, 반도체, 인공지능”을 관심 주제로 정하고 있습니다. 이유는 개인적으로 글로벌 금융 위기 이후 접하게 된 Googled: The End of the World as We Know It” 덕분입니다.
이 책은 아직도 한국에 출간되지 않은 것으로 알고 있으며 번역본이 없어 개인적으로도 2/3 정도 밖에 못 읽었습니다.
책의 내용은 구글이 인터넷 검색 기업으로 소외 당한 후, 검색 시장을 지배하기까지의 과정과 당시 구글이 그리고 있는 미래에 대한 소개를 시작으로 다른 기업의 경영진들이 구글의 파워를 서서히 인식하고 있는 과정이 실려 있습니다.
이 책을 접한 후 개인적으로 “인류의 삶이 본질적으로 바뀌는 기술 혁신”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고, 이러한 주제와 관련된 “논문”, “기사”, “도서”를 찾아 읽는 습관의 일부가 되어 시황에 개인적으로 찾은 기사의 헤드라인을 추가하고 있습니다.
멘토의 구글 뉴스 검색 방법
구글 뉴스에서 검색 기간을 1일로 설정한 후, 관심 있는 기업의 뉴스를 검색하여 찾습니다. 예를 들면 “Tesla, Apple, Nvidia”와 같은 키워드를 영어로도 검색하고, 중국어로도 검색해서 새롭고 영향력이 있을 만한 기사를 선택해 기사를 읽어본 후 헤드라인을 취합합니다.
멘토의 섹터 뉴스 검색 방법
테슬라, 자동차, 전기차, 반도체, AI와 같은 섹터는 뉴스를 모아 두는 사이트들이 있습니다.
이런 사이트를 누군가가 알려주면 참 좋겠지만 개인적으로도 반복적인 검색 활동을 하며, 좋은 소재의 소식이 많이 나오는 사이트들을 즐겨찾기 해 두고 있는 것이며 계속 검색 활동을 통해 참고 사이트를 늘리고 있습니다.
기타 SNS 매체 및 애널리스트 자료 참고
그 밖에 X를 통해 주요 테크 기업의 CEO나 기업, 그리고 해당 기업에 대해 잘 알려진 사람들을 팔로우하며 소식을 얻기도 합니다.
요즘은 애널리스트들도 텔레그램을 많이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몇몇 섹터 및 자산별 애널리스트의 텔레그램을 등록하여 수시로 살펴보며 정리하고 있습니다.

2) 인베스팅닷컴을 활용한 매크로 이슈 탐색

보통 미국의 주요 지표는 개장 전 또는 장 초반에 발표됩니다. 따라서 인베스팅닷컴 어플리케이션의 “이벤트” 메뉴를 확인하여 주요 지표 발표 결과에 따른 개장 전 및 장 초반 움직임을 확인합니다.
인베스팅닷컴에서 주요 지표 확인하기
아래 이미지와 같이 인베스팅닷컴 어플리케이션의 하단에서 “더보기”를 선택하고 “캘린더” 메뉴를 따라가면 경제 캘린더가 나타나며, 이벤트의 중요도에 따라 “별”의 갯수가 달라집니다.
중요한 이벤트인 경우 지표 발표를 확인하고 이에 대한 금융시장의 반응을 차트로 확인하며 간단하게 정리한 후, 다음날 시황 작성 시 해당 이벤트에 대해 우리가 2주차에서 학습한 경로와 동일하게 전문을 찾아보고 그 내용을 정리 및 분석한다.
인베스팅닷컴의 어플리케이션 도구를 이용해 중요한 이벤트만 보이게 설정도 가능합니다.

3) 외신 브레이킹 뉴스 체크

개장 전 시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브레이킹 뉴스가 있을 수 있습니다. 개장 전 실적 발표 또는 이슈들은 브레이킹 뉴스로 확인할 수 있으며, 뉴스 어플리케이션의 브레이킹 뉴스를 활성화해 두면 확인이 쉽습니다.

2. 장중

1) 어플리케이션 및 웹을 통한 섹터 동향 점검

finviz (핀비즈)
개장 초 핀비즈 맵을 통해 S&P 500 섹터 움직임을 파악합니다. 이는 주도 업종이나 주도주의 움직임에 변화가 생겼는지 살펴보기 위해서입니다.
개인적으로 테크주의 관리 자산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기 때문에 주도 업종의 변화가 생길 경우 이 변화를 고려한 자산 배분도 필요하기 때문에 섹터 동향을 점검합니다.

2) 인베스팅닷컴을 통한 미국 지표 점검

개장 후 초반에도 지표 발표나 이슈가 발생할 수 있으며 뉴스로 확인되기 전에 시장이 먼저 반응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러한 반응은 주가지수인 경우도 있고, 금리인 경우도 있고, 환율인 경우도 있다. 따라서 인베스팅닷컴 앱의 관심 목록에 등록된 지표들을 점검하며 시장의 움직임을 관찰합니다.

3) 주요 관심 기업 및 섹터 체크

Webull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해 개별 종목 중 주가 변동이 큰 경우 해당 종목의 이슈를 탐색합니다.

3. 장 마감

1) 시장 변동 원인을 준 이벤트 확인

아래와 같이 매크로 이벤트가 영향을 준 경우 해당 매크로 지표들을 발표 사이트를 찾아 공개된 전문을 확인합니다.
개장 초까지 있었던 매크로 이벤트가 영향을 준 경우
장중 매크로 이벤트인 경우
(1) FOMC와 같은 통화정책 매크로인 경우
연준 홈페이지를 들어가 성명서를 확인하고 이전 성명서와 문구 차이를 찾아 확인하며, 유튜브를 통해 연준 의장의 발언과 발언 이후 질의 응답을 정리합니다.
(2) 산업이나 개별 기업 이벤트인 경우
특정 산업의 주도적 지위에 있는 기업의 이슈로 시장에 영향을 주는 경우도 발생합니다.
e.g.) 빅테크 기업들의 AI 수익성 우려가 있었던 2024년 2분기 실적 발표 시기
이러한 경우 해당 산업이 시가총액을 주도하며 산업만의 문제가 아니라 “위험자산”, 즉 주식 전체의 위험으로 번지는 경우도 발생하기 때문에 다른 산업의 등락까지 확인하고자 노력합니다.

2) 관련된 흐름으로 전체 시황 점검

정리한 시장 변동의 이유를 파악하고 이들과 관련한 관점에서 일관된 흐름으로 전체 하루 시장의 설명이 논리적으로 가능한지 확인하는 절차를 진행합니다.

3) 주요 섹터별 핵심 기업 주가에 영향을 준 핵심 이슈 선별

전일 주요 관심 섹터 및 기업 이슈를 요약한 내용이 당일 주식시장에서 해당 산업과 기업에 영향을 주었다면 매우 편하겠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가 더 많습니다. 따라서 장 종료 이후 관심 섹터 및 기업에 대한 이슈를 다시 한번 모니터링하고 주가에 영향을 준 이슈나 뉴스를 확인합니다.